산길탐구

[토끼봉능선 중허리길] – 밀림 속 거대한 문명과도 같은 산길

꼭대 | 6079

   

 

1.     중허리길

 

 

산길이란 대개 마을에서 마을을 잇거나 또는 깊은 산중에 있는 암자에서 마을을 잇는 길이 대부분이다.

지리산중의 산길들은 이런 식으로 사람들이 오가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기며 시행착오를 겪으며 발달한 문화재 같은 것이다.

 

산중마을은 대부분이 식수 확보가 유용한 계곡 주변이나 혹은 재를 넘어가는 산길 주변으로 발달하기 마련이다.

 

산중마을이 능선 중허리에 있다면 그 마을에서 대처 마을로 드나드는 길은 대부분 사면을 돌아 재를 넘어 건너 마을로 갔거나 혹은 계곡을 따라 이어진 길로 내려서 나갔을 것이다.

현재 지리산에 남아 있는 많은 길들이 그랬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다우>님께서 복구한 명선북능 중허리기에서 보듯이 능선이나 골로는 붙지 않고 내내 중허리만 뚫고 나가는 길은 자연 발생적으로 생긴 길이 아니라 어떤 목적을 가지고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산길일 확률이 높다.

 

 

 

2.     토끼봉능선 중허리길 제보

 

 

작년에 [지리산 산길 지도] 제작을 위하여 트랙을 수집하는 과정에 <슬이>님으로부터 제보가 있었는데 토끼봉능선에서 어떻게 내려섰는데 험한 토끼봉 사면의 산 중간에 뜻밖에도 고속도로 같은 산길을 만났다는 것이다.

그 당시 그 길의 정체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궁금한 마음으로 짧은 구간 트랙을 따온 것을 보내주었던 것이다.

 

이후 몇 차례의 시도 끝에 드디어 토끼봉능선 중허리길의 정체를 밝혔다.

 

 

 

3.     거대한 문명처럼 건설된 산길

 

 

이 길은 직경 20cm 정도의 굵은 PVC 배관이 함께 이어져 있는데 짐작하건데 칠불사에서 용수를 위하여 설치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산중에 배관을 설치하려면 바위를 둘러가기도 하고 지하에 매설되는 구간도 있는데 항상 사람이 다닌 산길이 배관로와 별도로 정성스럽게 건설되어 있는 것이다.

 

사람이 가지 못할 구간에는 나무 사다리나 다리가 놓여있고 나무 사다리나 다리가 무너질 것을 대비하여 나무에 줄을 걸어 만약에 파손될 경우까지 고려를 해 놓았다.

 

그렇지 않으면 돌로 계단을 만들거나 디딤돌을 만들어 한구간 끊긴 곳 없이 사람이 다닐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놓았던 것이다.

 

 

명선북능 중허리길과 비교한다면, 명선봉북능 중허리길은 산막의 물품을 이동하기 위하여 비교적 완만한 지형을 따라 길을 넓직하게 잘 다듬어 놓아 산행하기가 아주 수월한데 비하여 토끼봉능선 중허리길은 거대한 암봉 지대에 매달린 배관을 놓칠세라 어려운 지형을 이리저리 피하면서도 어쩌든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산길을 만들어 놓았던 것이다.

 

 

배수용 배관의 설치 특징이 구불어 지지 않고 일정한 기울기로 긴 구간에 걸쳐 설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거대한 암봉이 나타나면 배관은 암봉 중허리를 휘감아 돌아 설치가 되었지만 산길은 암봉을 위로 혹은 아래로 우회할 수 밖에 없어 길을 놓치기 일쑤였다.

 

그래도 배관이 크게 벗어나지 않는 곳에 집중하여 찾아보면 디딤돌을 놓은 건설된 산길을 찾게 된다.

 

 

CIMG3453.JPG

 

*배관과 별도로 항상 산길이 주변에 이어져 있어 배관이 사람이 접근 할 수 없는 구간으로 갈 경우 산길이 배관과 헤어져 다시 배관을 만날 때가지 이어져 있다.

 

 

CIMG3457.JPG

*배관은 수평방향으로는 때로 휘기도 하지만 수직방향으로는 용수의 흐름을 위하여 일정한 기울기로 설치되어 있다.

 

 

 

CIMG3450.JPG

 

CIMG3211.JPG

*문명처럼 정성스럽게 만들어진 그림 같은 산길

 

 

 CIMG3445.JPG

*암벽이 나타나면 배관은 암벽 허리를 감아 돌아 간다. 이때 산길은 암벽 위로 혹은 암벽 아래로 이어져 있다.

 

 

 

CIMG3459.JPG

*가장 위험한 구간 중에 하나. 저 나무 사다리를 타지 않으려면 거대한 암봉 위를 한참 우회해야 한다.

  그러나 사다리가 끈에 메달려 있고 안전하게 사람이 잡을 로프가 사다리를 따라 설치 되어 있지만 사다리가 너무 오래되어 부러질 직전이다.

 

 

CIMG3460.JPG

*위험한 사다리 구간에 다행이 바로 위로 나무 다리가 있어 <백산>님이 선두로 건너고 있는데 언제 부러질지 모르는 나무 다리다.

 

 

CIMG3461.JPG

 

CIMG3452.JPG

*곳곳에 디딤돌로 길이 만들어져있거나 혹은 나무 다리나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어 산길을 만든 정성이 엿보인다.

 하지만 현재 나무 다리 대부분이 사진과 같이 썪어 몸을 올리니 바로 부러질 것만 같다.

 

 

CIMG3446.JPG

*암봉 구간을 우회할 경우에는 험하기도 한데 대부분 구간은 다른 지리산길과 같이 호젓하고 운치가 넘치는 구간도 많다.

 

 

 

4.     토끼봉능선 중허리길의 정체

 

808d9ec3f091e8701c8f3a61ca9cbb2d.jpg

*토끼봉능선 중허리길 지형도 

 분홍색; 토끼봉능선

 붉은색; 또끼봉능선 중허리길

 녹색; 칠불사-연동골 연결길

 

 

google.jpg

  

 

 

합수부에서 잇지 못한 나머지 구간을 잇고 산길을 제정비(정확한 트랙 확보 및 표지기 부착) 하기 위하여 다시 찾았다.

 

지난번 중단한 지점에서 이어가기 위하여 칠불사에서 목통골로 가로질러 가는 길을 따라 가는데 계곡에 접근했을 무렵 은백의 멋진 신사 한 분이 인사를 하면서 건너 온다.

 

반갑게 인사를 하고 습관처럼 인물 사진을 찍었는데 [가족게시판]에 시진이 올려진 <백산>님이시다.

 

이날 <백산>님은 목통골로 화개재에 올라 토끼봉능선으로 하산하실 계획이었는데 산길탐구 계획을 듣고서는 따라오시겠다 하신 덕분에 탐구산행팀이 보강되어 하산길에서 산길탐구에 큰 도움이 되었다.

 

 

 

지난번 탐구에서 중단하고 내려온 지점에서 다시 올라가 산길을 이어가는데 악전고투를 겪으며 올라왔던 길은 싱겁게 끝났다.

얼마 가지 않아 고도 970에 나타나는 계곡의 큰 집수조가 그 끝이었다.

 

결국 이 길은 칠불사 용수용 배수관을 따라 올라갈 수 있도록 만든 산길이었다.

 

 

연동골 계곡 물이 어디든 깨끗할 것인데 무엇한다고 이 높은 곳까지 거대한 산길을 내면서까지 올라왔을까.

 

 

단순히 용수 확보만 생각한다면 칠불사에서 연동골로 가로질러 가는 길을 따라 배관을 설치해도 충분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문제는 칠불사에서 다용도로 사용하는 용수의 수압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도 970까지 올라가서 끌고 왔을 것이라 이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신기한 것은 두차례나 내려오면서 그 좋던 길이 칠불사 주변 산길과 만나는 들머리를 코 앞에서 놓쳤다는 것이다.

모를 일이다. 길의 출입을 막기 위하여 길의 입구를 알라바바의 소굴처럼 마술같이 막아 놓았는지.

 

 

CIMG3435.JPG

*토끼봉중허리길의 끝에 있는 취수장. 중허리길의 목적을 보여준다.

 

 

 

5.     당부의 말씀

 

이 길은 산꾼이 산행을 위하여 갈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토끼봉능선 산행 중 길을 벗어나 치고 내려오다가 이 길을 만났을 경우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제대로 알아야 안전한 산행을 마무리 할 수 있을 것이라 알고는 있어야 할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중 감추어진 문명처럼 정성스럽게 놓여있는 길이 구간에 따라 호젓하기도 하고 때로는 위험하여 스릴을 느끼기도 하면서 깊은 산중에서 묘한 매력을 발산하는 길이기도 하다.

 

칠불사 용수용 배관이 깔려있는 길이지만 산꾼이 용수 배수관을 파손하는 우려는 전혀 없기에 산길과 배관에 손상을 입히지 마라는 당부는 아마도 산꾼들에게 모독이 될 것이다.

 

한가지 당부를 드린다면, 산길의 곳곳에 나무 사다리가 놓여있는데 설치한지가 제법 오래되어 썩어 있다.

절대 나무 다리를 믿지 말고 안전하게 우회를 해야 할 것이며, 특히 몸무게 80kg 이상 나가는 산꾼들은 절대 조심해야 할 사항이다.

 

주변 지형이 무수한 암벽으로 지리산중에 이렇게 험난한 구간에 놓인 산길도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산길은 명확하다. 디딤돌을 비롯하여 인공의 흔적을 찾아가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배관과 일정한 거리 이내에 산길이 있기 때문에 길을 잃었다면 우선 배관부터 찾아보고 주변에 인공으로 길을 만든 흔적이 없는지 확인하면 쉽게 산길을 이어 갈 수 있다.

 

 

 

 

 

*중허리 길 보다 아래 칠불사에서 연동골을 가로질러 가는 길을 포함하여 칠불사 주변의 거미줄 같은 산길은 별도로 발표하겠습니다.

6 Comments
임우식 2011.11.03 09:31  
2004년인가...쯤에 저 길을 만나..호기심 충만해서 한없이 들어가 봤던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이미 결론을 냈었는데...칠불사 식수 확보용 수관 길이였다고요....
그땐....디카가 없어서..일회용 필카를 사 들고 다니며 촬영했었는데...찾으면 있을것도 같은데...
 
또 하나의 길....
토끼봉능선 하산중 참샘에서 우측으로 참샘의 물길을 건너 수십m 들어가 보면...흐릿한 길이 있는데...
수백m쯤 가다 보면 길은 끊기고....아님 찾지못하고...되 돌아 나온적이 있었습니다.
찾아 보면 싶기도 한데....
산유화 2011.11.03 09:54  
우식행님!
토끼봉 하산중에 참샘 옆풀때기의 길을 들어 가 보실때 그 옆에 참한 아짐씨 한 사람 있었다 카든데...
산모씨라고...
지금은 쪼그라진 할마씨가 되뿟지만 그때는 팽팽했다고 하드만요.^^
두행님 따라 아무것도 모름시롱 쫄랑쫄랑 따라댕기던 시절이 그립네요.
 
참샘 옆풀때기길도 다시 함 가보고 싶고요.
 
꼭대행님께서 심혈을 기울여 올려 놓으신 저 칠불사 식수길은
산꾼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길은 아니였네요.
길이 잘 나 있는 곳은 사진에서 보다시피 참 좋은 길이었지만
곳곳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길이기도 하거니와 산허리를 돌고 돌아 내려오는 길이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더이다.
임우식 2011.11.03 18:57  
그러게...정말 그때가 그립네...
우째... 그때는 겁도 없었던가봐...
 
지금도 팽팽하다...지만...쪼그라졌다고 할뿐...
 
어느 한 순간 서서 나 자신을 보면...어제까진 안그랬는데...갑자기 팍.....안타깝습니다.
다 내려 놓고....쉬어야 하는데... 그래지질 않으니...
 
저 때만 해도 정말 팽팽했는데....
유키 2011.11.03 11:33  
항상 산길탐구 정립의 현장에서 애 쓰시는 산유화언니 화이팅!
유키 2011.11.03 10:04  
슬이님 속이 시원하겠습니다
우찌우찌 내려선 험한 토끼봉 사면의 중간에서 뜻밖에 만난 낯선 길의 정체가
칠불사 용수용 배수관을 따라 올라갈 수 있도록 만든 산길이었다는 것이
드러났으니까요.
길의 정체를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아주 흥미만발이어요
 
 
길이 만들어진 목적은 뭐 특별할 것이 없으나
배수관을 설치하기 위해 꼼꼼하게 만들어 나간 길들을 보자니 신비롭기까지 합니다
돌을 주워다가 틀에 맞춘듯 쌓기도 하고 나무둥치를 암벽에 매기도 하고
암벽에 세우기도 하고
 
음, 저 걸쳐세워진 사다리는 즉석에서 만든 것 같기도 하고
용수배관 설치가 목적이긴 하였겠으나
용수배관의 설치작업을 수도하는 마음으로 한 자 한 자 정성을 다해 이어나간 정신같은 것이 찐하게 엿보입니다
감동스럽다고 할까요
 
꼭대님 덕분에 산길탐구의 묘미를 집안에 앉아 조금씩 맛을 보는 것으로 알아가고 있습니다
참말로 감사하고 멋지십니다.
산길탐구 화이팅!
 
사진/백산 님
백산님게오서 토끼봉능선 중허리길 현장에서 애쓰시는 두분을 취재하심
허락도 안 받고 무단으로 사진 펌/유키
   
 
답지 2011.11.03 21:54  
취수장 바로 옆에서 대전에서 오신 세 분들이 식사 중이었고,
저희 일행 세 사람도 덩달아 도시락 점심을
그 곳에서 먹었죠.

To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