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지형도탐구
Global Mapper 기초 8. Catalog (*.GMC) 파일 생성하기
■ 많은 수의 이미지를 한번에 열면 로딩과 화면 이동 속도가 느려진다.
예를 들어 1:5,000 지형도 전체는 약 17,650 + a 인데 시스템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꺼번에 열기엔 능률적이지도 않고 열리지도 않을 듯 하다.
하지만, 시스템 사양에 관계 없이 Catalog 파일을 만들면 한꺼번에 열기가 가능하다.
1. 지리산 1:50,000 지형도 9개로 Catalog를 만들려 한다.
2. File > Create New Map Catalog를 선택 한다.
▲
1. Catalog (즉, 확장자 gmc)의 파일명을 입력한다.
▲
1. Add File 또는 Add Directory > 이미지 파일 또는 이미지가 있는 폴더 선택> 확인
▲
1. 지리산 1:50,000 지형도 9개가 있는 폴더를 선택했다면 모든 파일을 불러 온다.
▲
1. 지리산 1:50,000 지형도 9개를 불러 왔고 Catalog에 추가 확인한다.
1. 지형도가 표시되지 않았을 경우 화면으로 보여지는 Catalog의 스타일을 지정해 준다.
1. 현재 그리드 간격이 0.025이기 때문에 그리드가 너무 많다.
2. 좌표계 (Projection)도 Geographic (Lon/Lat)으로 설정되어 그리드가 정사각형이다.
3. Control center의 레이어를 더블 크릭하면 Catalog 수정창이 열리므로 위 스타일 설정을 이용해 본인이 원하는 스타일로 변경해 보자
▲
1. 일정 수준 Catalog를 확대하면 지형도가 보인다.
2. 현재 좌표계 (Projection)는 Geographic(lon/lat)이다.
▲
1. 좌표계를 변경하고 gmw 파일로 저장해야 변경한 환경으로 불러오기가 가능하다.
▲
1. 지형도가 일정한 축척에서만 보이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
1. 지리산 1:50,000 지형도 9개에 대한 Catalog를 만들었고.
2. 지리산길 포인트 shp 파일을 불러와서 속성별 레이어로 분류하고 스타일을 지정했다.
3. 지리산길 트랙 shp 파일을 불러와서 속성별 레이어로 분류하고 스타일을 지정했다.
4. 봉산골 트랙을 불러와 트랙 라인의 스타일을 변경했다.
5. 이전 언급했지만 Mbtiles, TMS 파일 등 웹 포맷으로 내보내기 할 때는 좌표계를 Mercator (Google maps...)로 변경해야 한다.